H2 DB

BackEnd/DB

H2 DB - 인메모리(In-Memory) 모드

H2 DB를 공부하면서 H2를 In-Memory 모드로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H2 DB는 보면 볼수록 유용한 기능을 많이 제공하는 것 같다.) 이 In-Memory 모드를 사용하면 개발환경 및 테스트 환경에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을 것 같다는 생각에 학습하여 적용해보았고, 학습 기록을 포스팅해보려고 한다.   인메모리 모드 (In-Memory Mode) H2의 인 메모리 모드 는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가 메모리에만 존재하고 디스크에 저장되지 않는 모드이다. 테스트 또는 개발 환경 같은 특정 케이스에서는, 데이터의 영속이 필요하지 않을 수도 있다. H2 DB는 그러한 상황을 위해 데이터가 영속되지 않는 인 메모리 모드를 지원한다.인메모리 모드는 모든 Connection이 close되면, D..

BackEnd/DB

H2 DB - 3가지 Connection 모드

우테코 레벨2의 미션을 수행하면서 로컬 DB로 H2를 사용하게 되었는데, 신기한 점이 있어 기록해보고자 한다.H2는 DB를 작동시키지 않아도 사용이 가능했던 것이다.  위 코드는 실제로 DB에 접근하는 통합 테스트인데, 로컬에 H2 DB 서버를 설치하지도 실행시키지도 않은 상황에서도 정상적으로 작동한다. 어떻게 그럴 수 있는 지에 대해서 H2 DB의 3가지 모드를 살펴보면서 알아보겠다.  H2 DB의 3가지 Connection Mode H2는 다른 DB와 다르게 3가지 연결 모드를 가지고 있다는 특징이 있다.  H2 DB는 위와 같이 3가지 모드가 있는데 그 중 Embedded Mode 와 Mixed Mode 는 H2 DB 를 설치해서 서버를 실행할 필요없이스프링부트에서 h2db 의존성만 build.gr..

PgmJUN
'H2 DB' 태그의 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