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 오류 발생 지점 API모듈에서 Domain모듈을 implementation하여 사용하는 상황에서API모듈에서 Domain모듈의 의존성에 추가된 JPA 사용 시, 아래와 같은 오류가 발생했다.Cannot access 'org.springframework.data.jpa.repository.JpaRepository' which is a supertype of 'com.th.plu.domain.domain.member.repository.MemberRepository'. Check your module classpath for missing or conflicting dependencies 현재 의존성은 다음과 같이 연결된 상태이다.API모듈 -> Domain 모듈 implementation,Doma..
라이온하트 2차 회고 SOPT 32기 회고 IT 동아리 솝트에서 진행한 앱잼에서 누구보다 뜨거운 여름을 경험하였고이를 나중에도 떠올릴 수 있도록 5주간 라이온하트 서버를 개발하면서 배운 점들과 아쉬웠던 점 그리고 최종적으로 솝트 32기 활동을 돌아보는 과정을 글로 녹여내보려 한다. 상반기를 거의 솝트와 보냈기 때문에 사실상, 상반기 회고라고 생각한다. 지난 회고 [SOPT] 앱잼, 라이온하트 개발 중간 회고 SOPT 앱잼, 1차 회고 IT 동아리 SOPT에서 경험하게된 앱잼의 합숙 1주차가 지나며, 한 주간 라이온하트 서버를 개발하면서 겪은 감정과 경험을 글로 녹여내는 시간을 가지려고 한다. 🦁 라이온하트? pgmjun.tistory.com 📱 앱잼 과정 라이온 하트와 함께한 앱잼은 3주간의 세팅, 2주..
스프링부트 서버 한국 시간(KTC)으로 배포하는 방법 문제 상황 🔥 라이온하트의 챌린지 기능요소 중, 출석체크 기능이 존재하기 때문에 DB에 출석 시간을 저장하는 로직이 존재한다.때문에 EC2 인스턴스에서 timedatectl 설정과 localtime 설정(아래)을 통해 인스턴스의 시간을 한국 시간으로 맞춰놓았다.# ubuntu22.04 localtime 설정sudo rm /etc/localtimesudo ln -s /usr/share/zoneinfo/Asia/Seoul /etc/localtime 이렇게 설정하니 Database에 시간 값을 입력할 때, 한국 기준 시간이 제대로 입력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출석 체크 시간 필드가 존재하는 레코드를 자바의 엔티티 객체와 매핑하는 과정에서,L..
스프링부트 LogBack 🔥 문제 의식 로그 관리를 효율적으로 해야겠다는 생각이 든 건 라이온하트 서버를 개발하는 과정에서였다. 서버 로직을 개발할 땐 크게 문제될 상황이 없었지만, 클라이언트 측에서 API를 연결하는 과정에서로그를 확인해야하는 경우가 많이 발생했는데 로그 파일 하나에 모든 로그를 전부 기록하여 관리하다보니1. 원하는 정보를 찾기 굉장히 어려웠고 정리되지 않은 로그는 이해하기 굉장히 어려웠고2. 로그가 계속 쌓여 차지하는 용량이 끊임없이 증가했다. 이러한 이유에 의해 로그를 체계적으로, 그리고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방법을 생각했고 LogBack이라는 것을 알게 되어 학습 및 적용해보았다. 그리고 미래의 나를 위해 그 과정을 간단히 기록해보고자 한다. 📝 로깅을 하는 이유 로깅이..
SOPT 앱잼, 1차 회고 IT 동아리 SOPT에서 경험하게된 앱잼의 합숙 1주차가 지나며, 한 주간 라이온하트 서버를 개발하면서 겪은 감정과 경험을 글로 녹여내는 시간을 가지려고 한다. 🦁 라이온하트? 라이온하트는 예비 아버지를 위한 육아 아티클 서비스이다. 아버지들을 위한 육아 정보 커뮤니티가 거의 존재하지 않고, 아버지들은 정보를 얻을 수 있는 공간이 너무나도 적다. 가장 활발하게 정보가 유통되는 맘카페라는 공간을 이용하지 못하면 예비 아빠들은 스스로 정보를 찾아나서야 하는데 이것은 너무 막막한 상황이다. 때문에 예비 아버지들을 위한 하루 10분 육아 아티클 서비스 ‘라이온하트’는 세상에 너무나도 필요한 서비스라고 생각이 들었고, 이러한 생각에 지원하여 함께하게 된 라이온하트 서버파트에서 1주간 겪..
스프링부트 with Slack슬랙 WebHooks 사용하여 에러 로깅해보기 서버를 개발하다보면 미처 처리하지 못한 알 수 없는 에러가 발생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이런 경우 로컬 환경이라면 금방 디버깅이 가능하지만, 서버를 배포해놓은 상황이라면서버의 로그 파일을 통해 발생한 예외를 확인하거나, 모니터링 기능을 추가하여 해결하는 등 다양한 방법을 통해 해결해야한다. 이와 마찬가지로 슬랙을 통해서도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던져볼 수 있다.예외가 발생하면 슬랙의 채널에 에러 로그가 전달되어 환경에 구분없이 빠른 조치와 해결이 가능하다! 꼭 한번 사용해보는 것을 추천한다. 패키지 구조 플로우 🌊SlackTestController에서 요청을 받아 Exception을 발생시킨다.ControllerExcept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