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WAS는 Web Application Server의 약자이다. 배포할 때에는 **내장 WAS(스프링부트 기준 Tomcat)**를 사용하게 되고 빌드 시에 생성되는 jar 파일을 실행하면 서버를 가동할 수 있다. 즉, 어떤 환경이든 jvm만 있으면 간단하게 Spring boot 어플리케이션을 동작할 수 있다는 뜻이다. WAS란? 웹 서버와 웹 컨테이너의 결합체 클라이언트의 요청이 있을 때 내부의 프로그램을 통해 응답을 생성하고 이를 돌려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스프링부트에서는 Apache tomcat이 이와 같은 역할을 하며 Servlet Container라고 불린다. spring-boot-starter-web 라이브러리는 자체적으로 spring-boot-starter-tomcat을 포함하기 때문에 해당..
AWS S3 사용법 AWS S3란? Amazon S3란 AWS(Amazon Web Service)에서 지원하는 Simple Storage Service의 약자이다. 다시말해 아마존 S3는 아마존 웹 서비스에서 제공하는 온라인 스토리지 웹 서비스이다. 사진, 파일, 폴더 등 다양한 것들을 저장하고 사용할 수 있다. 대부분의 서비스를 무료로 이용할 수 있는 프리 티어 회원에게 제공되는 S3 서비스의 기준이다. 이 이상 사용하게 되면 추가금을 결제해야하는데 유료로 이용해도 생각보다 많이 저렴하니 부담없이 사용할 수 있다. 다시 본론으로 돌아가 프리 티어 가입법을 설명하겠다. 버킷 생성 검색 탭에 'S3'를 검색하여 들어간다. 그럼 이렇게 버킷을 생성하는 화면이 나오는데, 우리는 이제부터 이 '버킷' 이라는 것..
스프링부트에서 테스트 코드를 작성하던 중갑자기 이전엔 발새하지 않던 Command line is too long. 라는 에러가 발생했다. 원인 This error occurs when the classpath gets too long or have many VM arguments. Most operating system has a limited number of characters for command line. 에러와 직면한 이후, 문제 해결을 위한 래퍼런스 탐색 도중 baeldung에서 에러의 원인을 발견할 수 있었다. baeldung에서 확인한 내용을 해석해보자면"이 에러는 classpath가 너무 길거나 가상머신 인수가 많을 때 발생하며, 대부분의 운영 체제는 커맨드 라인 글자의 글자수 제한을..
이번 여름 방학동안 DND 6기에서 개발했던 프로젝트 '흐릿'을함께 했던 팀원분과 리팩터링하는 시간을 갖기로 하였다. 그리고 주어진 시간에 쫓겨 테스트 코드를 작성하지 못하였던 것이 후회되어테스트 방법론을 학습하고 적용하여 다시 디벨롭 해보려고 하였기에 테스트 방법론에 대하여 공부하고 기록하게 되었다. 테스트 코드를 작성해야하는 이유우선 테스트 코드를 작성하고자 하는 이유에 대해서 짚고 넘어가겠다. "자동화된 테스트 환경을 구축한다."기능이 추가 또는 변경되면 애플리케이션을 재시작 후 Postman 등을 통해 일일히 기능을 실행해보며 확인하지 않아도테스트코드를 실행하기만 하면 기능이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 짧게는 몇 초만에 확인할 수 있다. "기능에 결함이 있다면 사전에 발견할 수 있다."만약 20..
EC2 도메인 연결 & EC2 HTTPS 적용 안녕하세요 오늘은 AWS EC2에 도메인을 연결하고 HTTPS까지 적용해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이 글은 이전에 생성한EC2가 이미 있다는 가정하에 HTTPS와 도메인 연결만을 설명하는 게시글임을 참고 부탁드리겠습니다. 사용할 재료 이번 시간에서 사용할 재료는 AWS의 Route53, Certification Manager, EC2 그리고 PuTTY 입니다. PuTTY가 뭔지 모르신다면 아래 게시글을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AWS] EC2 배포(2) - PuTTY로 AWS EC2 인스턴스 접속 PuTTY(푸티)란? PuTTY는 가상 단말기 프로그램이다. 서버는 물리적으로 떨어져 있어도 단말 장비를 통해서 원격으로 접속하여 작업할 필요가 있는데, 이때 ..
이번 시간에는 스프링부트에 AWS의 Relational Database Service 즉 RDS를 데이터베이스로 연결해보는 과정을 알아보겠다. :: RDS란 :: 아마존 RDS는 아마존 웹 서비스가 서비스하는 분산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이다. 애플리케이션 내에서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의 설정, 운영, 스케일링을 단순케 하도록 설계된 클라우드 내에서 동작하는 웹 서비스이다. 아예 AWS를 처음 접하는 사람들도 쉽게 따라할 수 있도록 차근차근 설명하겠다. 1. IAM 생성 우선 AWS 계정이 없다면 아래 게시물을 따라서 프리티어 계정을 생성해보자. [AWS] Amazon Web Service 회원 가입 하는 법 반갑습니다. 오늘은 AWS 회원가입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AWS 회원가입 이번 시간에는 무료 이용..